본문 바로가기
드라마

<오늘도 사랑스럽개> 차은우 생일 선물로 받은 '수국'

by 달러박스 2023. 11. 23.
 
오늘도 사랑스럽개
키스를 하면 개로 변하는 저주에 걸린 여자와 그 저주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치트키지만 개를 무서워하는 남자의 댕며드는 예측불허 판타지 로맨스 드라마

 

시간
수 오후 9:00 (2023-10-11~)
출연
차은우, 박규영, 이현우, 윤현수, 류아벨, 조진세, 김이경, 정영주, 김홍표, 김해준, 유승목, 이서엘, 송영아, 이승준, 조아영, 강수빈, 김민지, 신준항, 김민석
채널
MBC

 

오늘도 사랑스럽개 7화에서 박규영이 차은우에게 생일 선물로 준 꽃이 수국이다. 수국은 조금만 건조해져도 바로 말라버리는 꽃이다. 하지만 물속에 담가 두면 한 시간이 채 지나지 않아 다시 살아난다. 영원히 시들어 버리는 것이 아니라 잠시 변덕을 부리는 것이다. 마치 나를 바라봐달라고 시위하는 것처럼. 그래서 관심을 가져주면 금세 다시 활짝 핀다. 또 적합한 환경에서는 다른 어느 꽃보다도 오랜 시간 피어 있다. 그래서 수국은 '진심'을 담은 꽃이면서도 '변덕'의 꽃이다. 


수국의 꽃말은 진심, 변덕, 처녀의 꿈이다. 연애할 때 마음이라고 할까? 어떤 때는 진심으로 대하고 상황에 따라서 변덕도 부려보는 마음처럼 수국은 토양에 따라서 꽃 색깔도 다양하게 핀다. 꽃이 피기 시작한 초기의 수국은 녹색이 약간 들어간 흰 꽃이었다가 점차로 밝은 청색으로 변하여 나중엔 붉은 기운이 도는 자색으로 바뀐다. 토양이 강한 산성일 때는 청색을 많이 띠게 되고, 알칼리 토양에서는 붉은색을 띠는 재미있는 특성을 갖는다.

그래서 토양에 첨가제를 넣어 꽃색을 원하는 색으로 바꿀 수도 있고, 꽃잎처럼 보이는 부분이 사실상 꽃받침이라서 암술과 수술이 꽃 속에 없다. 반음지 식물로 비옥하면서도 습기가 많은 곳을 좋아하고 이런 곳에서는 땅에서부터 여러 개의 줄기가 나와 자연스럽게 보기 좋은 수형을 이루어 커다란 꽃이 피게 된다. 수국과 비슷한 특성을 갖는 수종으로는 산수국이나 탐라수국이 있는데, 우리나라 향토 수종으로서 초여름에 산을 찾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꽃나무이다.

산수국이나 탐라수국은 일반 사람들이 구별하기 쉽지 않게 꽃이나 나무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이들은 남보라색으로 아름다울 뿐 아니라 꽃 가장자리는 수국처럼 무성화가 피고, 안쪽으로는 수술과 암술을 완벽하게 갖춘 결실 가능한 작은 꽃들이 피는 것이 수국과는 다르다. 제주도 한라산 중턱 해발 1,000m쯤 되는 비교적 습기가 많은 경사면에 탐라산수국이 산재해 자라고 있다. 여름이면 남보라색 꽃과 안개에 묻혀 보일 듯 말 듯한 정상 부분의 바위산과 어우러진 모습은 마치 선경에 와 있는 듯한 착각에 빠질 정도로 아름답다.

수국이나 산수국 또는 탐라수국 모두 삽목이 잘되기 때문에 여름철 그 해 자란 가지나 이른 봄에 지난해 자란 가지를 잘라 삽목 하면 뿌리가 잘 내린다. 산수국은 종자를 파종해도 묘목을 얻을 수 있지만 삽목 방법이 더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수국은 꽃이나 잎, 뿌리 모두 약재로 귀하게 쓰인다. 생약명으로 수구, 수구화 또는 팔선화라고 하는데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심한 열이 날 때 또는 심장을 강하게 해 주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 일본에서는 ‘수국차’라고 해서 잎이나 가는 줄기를 말려 차로 만들어 먹거나 단 것을 금해야 하는 당뇨병 환자가 설탕 대용으로 쓰기도 한다.

이처럼 수국은 마치 초본류와 같이 보잘것없는 나무지만 여름날 더위를 식혀 줄 만한 시원스럽고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 또한 약재로도 쓰이고 있으니 우리 곁에 꼭 있어야 할 소중한 나무라고 할 수 있다.

생일 케이크 의미. 생일 촛불의 유래

 

생일 케이크 의미. 생일 촛불의 유래

생일케이크의 의미와 생일 촛불의 의미를 소개하겠습니다. 생일케이크는 태어난 날을 기념하기 위해 케이크를 먹는 관습은 그리스에서부터 시작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이다. 고대 그리스

dollarbox.tistory.com

부처님 오신 날에 피는 꽃 '불두화'

 

부처님 오신 날에 피는 꽃 '불두화'

부처님의 머리를 닮은 꽃으로 불리는 불두화[ 佛頭花 ]를 아십니까? 수국과의 백당나무를 개량한 종으로 꽃의 모양이 부처님의 머리처럼 곱슬곱슬하고 부처가 태어난 4월 초파일을 전후해 꽃이

dollarbox.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