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패션

노리개란 . 대삼작 노리개. 노리개의 의미

by 달러박스 2023. 4. 4.
반응형

노리개는 저고리고름이나 치마허리에 차는 부녀자들의 장신구이다. 조선시대 여성의 장신구는 이전 시대에 많이 애용하던 목걸이나 귀걸이가 쇠퇴하고 대신 노리개가 다양하게 발달했다. 띠돈과 끈 및 주체가 되는 패물·매듭·술로 구성된다. 패물의 개수에 따라 한 개로 된 단작 노리개, 세 개가 한 벌로 된 삼작노리개가 있다. 금·은·백옥·비취옥·금패·산호 등의 재료를 사용한다. 다채로운 색상과 귀한 패물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와 문양을 표현한 노리개는 단조로운 우리나라 의상에 화려하고도 섬세한 미를 더해준다. 궁중에서부터 평민에 이르기까지 애용되었던 장신구이다. 여기서는 삼작노리개 즉 대삼작노리개를 소개하겠습니다.

궁중에서도 노리개는 여성의 지위를 표시하는 중요한 장신구 역할을 했다. 종친의 부녀자나 양반 부인은 머리에 첩지(머리를 고정하기 위해 착용하던 머리 장식)를 하고 노리개를 차야 궁중에 출입할 수 있었다. 궁녀는 관례를 치르는 날만 노리개 패용을 허락받았다.

이처럼 궁에서 노리개를 찬다는 것은 곧 여성이 자신의 품격과 지위를 내보인다는 것을 의미했다. 그러므로 지위에 따라 노리개의 모습이 달라지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었다.

 

대삼작 노리개

세 개의 노리개가 한 벌이 되게 만든 것이 삼작노리개다. 금·은·옥석·보패의 진귀함과 크기·규모에 따라서 대삼작노리개·중삼작노리개·소삼작노리개로 구분된다. 대삼작노리개는 삼작노리개 가운데 가장 호화롭고 큰 것으로 주로 궁중에서 사용됐다.

왕비와 세자빈, 정일품 품계를 받은 내·외명부 또는 공주, 옹주와 왕자 군부인 정도로 사용이 제한됐다. 다만 특별히 궁중에서 가례(嘉禮)·탄일(誕日) 등 특별한 축의 일이 있을 때는 참례하는 부인도 삼작노리개 패용이 허가되었다.

 

대삼작 노리개의 의미

대삼작노리개는 왼쪽부터 붉은색-흰색-남색의 장식술을 내리고, 각각 백옥의 쌍나비와 손바닥보다 큰 붉은 산호, 그리고 밀화(호박)로 주체부를 장식했으며, 낙지발술의 가닥마다 끝에 금사를 둘러 마무리했다. 세 개의 노리개는 옥으로 된 띠돈으로 하나로 묶었다. 옥제 띠돈에는 희자문(囍字文)이 양각돼 있다. 즐거움을 나타내는 희(喜)자가 두 개인 쌍희(囍)는 부부가 서로 즐거움을 나눈다는 의미로 쓰인다.

 

이처럼 대삼작노리개는 섬세하고 다채로우며 호화로운 장신구입니다. 그 안에 담긴 의미를 되새기며 대삼작노리개는 부부의 화합과 금슬, 백사여의(百事如意), 불로장생 등을 염원하는 옛 여인들의 마음이 담겨있음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단작노리개. 백옥쌍나비노리개. 산호가지노리개.밀화불수노리개. 노리개의 의미

 

단작노리개. 백옥쌍나비노리개. 산호가지노리개.밀화불수노리개. 노리개의 의미

노리개는 저고리고름이나 치마허리에 차는 부녀자들의 장신구이다. 노리개는 여자들의 소망과 사랑이 듬뿍 들어 있는 신앙생활을 엿볼 수 있는 장식품이다. 윗부분의 장식물은 저고리의 길이

dollarbox.tistory.com

청춘월담. 중전 홍수현 저고리 '당의'

 

청춘월담. 중전 홍수현 저고리 '당의'

당의(唐衣)는 조선시대 때 신분이 높은 사람들이 입었던 소례복이다. 여기서 소례복이란 예절에 맞게 간단하게 차려입게 만든 옷을 말한다. 형태는 저고리와 비슷하나 앞길과 뒷길이 저고리보

dollarbox.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