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복식의 변화
우리나라는 원래 유목 생활에 적합한 의복을 입었으나 이후 농경 사회로 바뀌면서 의복의 형태가 변화하였다. 또한, 신분의 귀천과 계급이 생기면서 의복에서도 신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게 되었다.
1. 삼국 시대
삼국 시대의 의복은 보온성과 활동성을 살린 단순한 형태를 띤다. 위에는 길이가 길 고 소매통이 좁은 유(裕: 저고리)를 입고 그 위에 대(帶: 허리띠, 띠)를 매었다. 아래에는 통이 좁은 고(袴: 바지)를 입고 머리에는 건(巾: 모자)을 쓰고 발에는 화(靴: 목이 긴 신발)나 이(履: 신발)를 신어 발을 보호하고 민첩하 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삼국 시대 말기에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 소매통과 바지통이 넓어졌고, 폭이 넓고 길 이가 긴 상(裳, 치마)과 포(袍, 두루마기)를 입었다. 여자는 치마와 저고리, 남자는 바지와 저고리가 기본적인 의복으로 정착되었다.
2. 통일 신라 시대
통일 신라 시대에는 삼국 시대의 의복을 그대로 계승하였으며 부분적으로 새로운 의복을 착용하였다. 친당 정책으로 우리나라 고유 의복과 중국 의복을 함께 입는 복식의 이중 구조가 형성되었다. 남자는 복두(僕頭)라는 관모를 썼으며, 여자는 오늘날의 배자(조끼)에 해당하는 반비(半臂)와 목도리에 해당하는 표(俵)를 착용하였다.
3. 고려 시대
고려 초기에는 통일 신라 시대의 의복을 그대로 계승하다가 광종 때 사색 공복 제도 가 만들어지면서 관직에 따라 자(자주색), 단(빨간색), 비(붉은색), 녹(초록색)의 색복 을 입었고 왕은 황색 포를 입었다. 여자 저고리는 길이가 점차 짧아져 고려 말기에는 저고리가 허리를 덮지 못하게 되어 허리띠 대신에 옷고름을 달았다. 치마는 허리 부분에 자연스러운 주름을 넣어 폭을 넓히고 땅에 끌리도록 길게 입었으며 속치마를 여러 겹 입었다. 몽고풍의 영향으로 머리에는 몽수를 썼으며, 족두리, 가채, 도투락댕기 등이 등장하였다.
4. 조선 시대
조선 시대 초기에는 고려 시대의 의복을 그대로 계승하면서 중국의 영향을 받아 부 분적으로 변화하였다. 왕복은 명나라에서 사여 받아 입었는데, 제사를 지낼 때는 곤복 과 면류관, 조정에 들어갈 때는 강사포와 원유관, 평상시에는 곤룡포와 익선관을 입었 다. 여자의 궁중 예복으로는 적의, 원삼, 활옷, 당의와 스란치마가 있었다. 여자 저고리는 품, 진동, 소매통이 좁아져 몸에 꼭 끼였고 옷고름과 곁마기도 좁고 짧았다. 치마는 속옷을 여러 겹 입은 후 그 위에 넓고 긴치마를 입어 하체를 풍만하게 보이도록 하였다.
5. 개화기 이후
근대화의 영향으로 복식은 간소화되었고, 상투머리 대신 짧은 머리를 하였다. 양복을 입기 시작하였으며 마고자와 조끼가 생겨났다. 여자 의복은 간편함과 실용성을 강 조하여 저고리의 길이가 길어지고 품과 소매통이 넓어졌으며 깃과 섶의 길이가 길어졌다. 치마는 폭이 좁고 길이가 짧아졌으며, 신여성은 짧은 통치마를 입었다.
'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롭탑이란. 크롭탑의 역사 (0) | 2023.04.01 |
---|---|
프란치스코 교황패딩 . AI 미드저니 가짜패딩. 미드저니 가입방법 (0) | 2023.03.27 |
살바토레 페레가모 생애. 인체해부학. 최초 명품신발디자인 (0) | 2023.03.22 |
금혼령. 간택. 재간택. 삼간택. 왕비(중전).간택복식 (0) | 2023.03.22 |
남자구두 종류. 옥스포드 .홀컷. 밸모럴 (1) | 2023.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