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

2023년 K-푸드 대한민국 발효문화대전.발효식품이란.발효식품역사

by 달러박스 2023. 3. 26.

발효문화대전이 열리는 여의도 한강둔치 특별전시장 인근에서는 ‘다시 봄’을  주제 ‘제17회 영등포 여의도 봄꽃축제’ 개최된다. ‘2023 K-푸드 대한민국 발효문화대전’에 놀러 오세요.라는 테마로  2023년 4월 7일(금요일)~9일(일요일)까지이다. 서울 여의도 한강둔치 특별전시장에서  오전 10시~오후 7시(개막식 7일 오전 11시)이다. 발효’를 주제로 전국 발효기업의 제품과 지방자치단체의 각종 발효제품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박람회다. 전국 지역별 우수 발효식품 부스가 마련돼 있으며 김치, 된장, 식초, 젓갈, 술 등 다양한 발효식품을 구입하고 오감으로 체험할 수 있다.

발효식품이란

인류의 역사는 식품의 역사, 발효식품개발의 역사이다. 오래 전부터 많은 전통식품들이 발효라는 인류가 발견해 낸 지혜로운 식품처리 방식으로 생산되었다. 벌써 기원전 6,000년에 효모가 맥주 제조에 사용되었으며, 그리고 치즈 생산에 곰팡이와 식초 생산에 초산균이 역시 오래전에 이용되었다. 한국인들도 발효식품을 개발하였고, 다양하고 조화된 향을 오랜 기간 동안 즐겨왔다. 한국인이 애호하는 발효식품은 장, 김치, 젓갈, 식초, 등 이 있다.

 

발효식품의 역사

인간이 발효현상을 발견하여 식품적으로 이용하게 된 것은 인류의 역사와 기원을 함께 한다고 할 수 있다. 이집트에서는 오리시스신이 술 빚는 법을 가르쳐주고, 그리스에서는 배커스신이 포도주 제조법의 시조라 하였으며, 인도에서는 신이 감로주를 개발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전래의 발효식품은 대부분 자연발효에 의한 것을 식품적으로 이용하는 정도에 불과한 것이었다. 인공발효법을 식품적으로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미생물의 존재를 학술적으로 확인한 다음의 일이다. 따라서 인공발효법이 식품분야에 이용되기 시작한 것은 1800년대 파스퇴르 이후이므로 200년의 역사밖에 되지 않다.

최근에는 주류, 장류, 식초류, 발효유제품 등 대부분의 전통발효식품들이 인위적으로 선발된 발효미생물들을 이용하여 품질이 균일하고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김치 등 일부 발효식품은 아직도 자연발효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 고려 동명왕의 건국담에서 술의 이야기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 발효식품의 이용은 삼국시대 이전부터 인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기후적으로 농사를 지을 수 없는 겨울철 휴경이 길어 긴 겨울을 나기 위해 식품소재를 장기간 보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였기 때문에, 곡류, 두류, 채소류 및 어패류를 발효, 염장시킨 다양한 발효음식이 발달되었다. 그리고 우리 조상들은 농경의례, 고사행위 등 토속신앙을 배경으로 한 각종 의식에서 술을 빚어 사용해 왔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김치류, 장류, 주류 등의 저장 발효식품이 오랫동안 우리 식문화를 대표하는 영양공급원 역할을 하여왔다.

 

 

한국발효식품. 중국발효식품. 일본발효식품

 

한국발효식품. 중국발효식품. 일본발효식품

발효식품은 곰팡이·세균·효모 등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어 새로운 성분을 합성하는 발효과정을 통해 만든 식품이다. 한국.중국.일본의 발효식품을 소개하겠습니다. 한국 발효

dollarbox.tistory.com

식혜. 안동식혜. 연엽식혜

 

식혜. 안동식혜. 연엽식혜

식혜는 크게 3가지가 있다. 다과 상에 놓이는 식혜, 안동지방에 밥알을 삭힌 안동식혜, 강원도 지방에 연잎으로 만든 식혜이다. 식혜 밥을 엿기름으로 삭혀서 단맛이 나도록 만든 음료이다. 식혜

dollarbox.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