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월대보름 또는 대보름은 '가장 큰 보름'이라는 뜻으로 음력 1월 15일을 말합니다. 대보름날은 우리 민족의 밝음 사상을 반영한 명절로 다채로운 민속이 전합니다. 중국에서는 이 날을 상원(上元)이라 하는데 도교적인 명칭으로 천관(天官)이 복을 내리는 날이라 합니다. 여기에 중원인 7월 15일, 하원인 10월 15일을 합하여 삼원이라 부릅니다. 이 밖에도 원소절(元宵節), 원석(元夕)이라 하며, 일본에서는 소정월(小正月)이라 하여 공휴일로 정해 명절로 삼고 있습니다.
대보름은 상징적인 측면에서 달 ·여성 ·대지의 음성원리(陰性原理)에 의한 명절로 달은 곧 물의 여신이므로 대보름과 농경문화는 밀접합니다. 땅과 달을 여성으로 여긴 것은 오랫동안 전해온 지모신(地母神)의 생산력 관념에서 나온 것입니다. 《태종실록》에 전하는 경기도 연안부의 용갈이, 용경(龍耕) 풍속이나 《동국세시기》에 전하는 홍주의 용경과 용알 뜨기 민속, 영동지방의 용물달기 등은 용신(龍神) 신앙이 농경의례와 밀접함을 보여줍니다. 줄다리기 역시 용사(龍蛇) 신앙의 한 표현입니다. 따라서 대보름 달빛은 어둠과 질병, 재액을 밀어내는 밝음 상징이므로 동제(洞祭)를 지내고 개인과 집단적 행사를 합니다. 전하는 말에는 “설은 질어야 좋고 보름은 밝아야 좋다”든가 “중국 사람은 좀생이 별을 보고 농사짓고, 우리나라 사람은 달을 보고 농사짓는다”는 것은 한국과 중국의 문화유형이 다름을 말해줍니다. 개인적인 기복 행사로는 부럼 깨물기, 더위 팔기, 시절음식인 복쌈이나 묵은 나물 먹기와 달떡을 먹는 것이 있으며, 줄다리기 ·다리밟기 ·고싸움 ·돌싸움 ·쥐불놀이 ·탈놀이 ·별신굿 등은 집단의 이익을 위한 대보름 행사입니다.
부럼 깨물기
부럼 깨물기는음력 정월 보름날 아침에 까먹는 잣 ·날밤 ·호두 ·은행 ·땅콩 등의 견과류 또는 견과류를 먹는 풍속을 일컫는 말입니다. 부럼은 대개 자기 나이 수대로 깨어 뭅니다. 여러 번 깨물지 말고 한 번에 깨무는 것이 좋다고 하여 한번 깨문 것은 껍질을 벗겨 먹거나 첫 번째 것은 마당에 버리기도 합니다. 깨물면서 1년 동안 무사태평하고 만사가 뜻대로 되며 부스럼이 나지 말라고 기원합니다. 이렇게 하면 1년 동안 부스럼이 나지 않으며, 이가 단단해진다고 합니다. 보름날의 부럼을 위해서 14일 밤에는 미리 과실을 준비해 두고, 땅속에 묻은 밤을 꺼내어 깨끗이 씻어 준비합니다.
귀밝이술
귀밝이술은 음력 정월 보름날 아침에 마시는 술로 이명주(耳明酒)·명이주(明耳酒)·치롱주(治聾酒)·총이주(聰耳酒)라고도 합니다. 옛날부터 전해 오는 풍속으로, 정월 보름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술(청주) 한 잔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그해 1년 동안 즐거운 소식을 듣는다고 하여 남녀노소 모두가 마셨습니다.
더위 팔기
더위팔기는더위 팔기는 정월 대보름날 아침 해뜨기 전에 만난 사람에게 “내 더위” 하며 더위를 파는 풍속입니다. 더위 팔기는 전국적으로 행해지는 대보름날 아침의 속신으로 보통 해뜨기 전에 하는 것이 상례입니다. 그러나 강원도 지역에서는 주로 정월 열나흗날 아침에 하며, 전라도 일부 지역에서는 2월 초하루에 더위 팔기를 하는 곳도 있습니다. 그리고 제주도에는 없는 풍속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해가 뜬 뒤에는 효험이 없다고 합니다. 아침에 만난 사람의 이름을 부르거나 적당한 호칭을 하여 대답하는 사람이 있으면, “내 더위” 하고 소리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답한 사람에게 그해 여름의 더위를 팔아넘기고 대신에 자신은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믿었습니다. 지역에 따라서는 자기 나이만큼 더위를 팔아야 더위를 타지 않는다는 곳도 있습니다.
한편 이름을 불린 사람이 미리 알아채고 대답 대신에 더위를 사지 않겠다는 뜻으로 “내더위 맞더위.” 하고 소리칩니다. 그러면 오히려 더위를 팔려는 사람이 되사는 것으로 여깁니다. 더위를 되파는 말은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면 “니 한압씨 철부덕”, “니 도우 내 도우 맞도우”, “니 하내비 길에 더우”, “니 하내비 짬더우”, “니 더우 내 더우 니 하나씨 콧더우”, “먼저 더위” 등이 그것입니다. 더위를 산 사람은 반드시 다른 사람에게 더위를 팔아야 그해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더 적극적으로 더위를 팔려고 합니다.
더위 팔기는 가족이나 어른들에게는 일반적으로 하지 않으며, 친구들 사이에서 주로 이루어집니다. 대보름날 친구들끼리 만나면 더위를 몇 개 팔았다고 자랑하기도 하며, 때로는 더위를 사고파는 과정에서 말다툼으로 이어지는 일도 있다고 합니다. 요즈음은 전화를 걸어서 더위를 파는 사람도 있습니다.
쥐불놀이
쥐불놀이는 들판에 쥐불을 놓으며 노는 풍속. 횃불을 들고 들판에 나가 논밭두렁의 잡초와 잔디를 태워 해충의 피해를 줄이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 있으며, ‘서화희(鼠火戱)’ 또는 ‘훈서화(燻鼠火)’라고도 합니다.
정월 대보름날 달집에 불이 붙는 것을 신호로 논둑과 밭둑에 불을 놓는데 정월 첫 번째 쥐날인 상자일(上子日)이나 음력 정월 열나흗날 또는 대보름날 저녁 농가에서 쥐불을 놓습니다. 쥐불을 놓게 되면 겨울을 지낸 들쥐나 메뚜기, 해충의 번데기, 각종 병해충들이 알을 낳아 놓은 잡초나 쥐구멍, 해충 서식지를 태워 농사에 유익합니다. 태운 잡초의 재는 논밭의 거름이 되고 풀들이 잘 돋아나 논두렁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울러 전염병을 옮기는 들쥐를 구축(驅逐) 하기도 합니다.
북한 지역에서는 어린이들을 시켜 밤나무 밑의 잔디를 태워버리고 장대로 밤나무 가지를 두드리면서 놀게 하였는데 이것 역시 병해충 예방과 묵은가지를 꺾어버려 새 가지가 나게 하는 의미라고 합니다. 이와 같이 구충(驅蟲)과 구수(驅獸)·구초(驅草)를 위한 생산축원의 쥐불놀이를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서는 “충청도 농민들이 정월 첫 쥐날에 떼를 지어 횃불을 사르는데, 이를 훈서화라고 한다.”라고 전합니다.
정월 대보름날에 행해지는 편싸움을 한자로 편전(偏戰) 또는 변전(邊戰)이라고 하는데, 단순한 쥐불 놓기에서 유희성을 가미한 쥐불놀이로 바뀌고, 나아가 편을 갈라 점치는 편싸움 형태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쥐불놀이를 들불놀이·횃불놀이로도 혼용하는데 횃불을 들고 들판에 나가 논밭두렁의 잡초와 잔디를 태워 버립니다. 이것은 불에 잘 타는 싸리나무에 삼대를 섞은 횃대를 만들어 불을 붙여 들고 논밭으로 나가 잡초를 태우며 놓는 것인데, 위아래마을의 농민이나 젊은이들이 편을 갈라 각자 횃불을 들고 이리저리 뛰면서 경쟁적으로 넓은 지역을 태우거나 상대방의 횃불을 끄기도 합니다.
쥐불편싸움은 생산적 예축(豫祝) 민속으로 농민들이 서로 편을 가르고 불을 놓아 불길이 잘 타는 쪽이 각종 재해를 피하고 풍년이 들 것으로 믿는 일종의 간접점세(間接占歲) 행위라고 할 수 있으며, 달과 불의 생생력에 의탁하여 한 해 동안의 풍겸(豊歉)과 미오(美惡)를 점치는 모의전입니다.
쥐불놀이는 쥐와 산돼지 등 들짐승과 병해충 예방이라는 실질적 농사풍속 외에도 정신적으로 한 해의 시작에 농산물의 성장과 재산 증식을 상징하는 모방주술적 관념을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신흠(申欽)의 『상촌집(象村集)』 권 6에도 “돼지날에 돼지 입을 지지고, 쥐날에는 쥐 창자를 굽는다. 우거진 밭이랑 사이 벌레를 없애고 장포에서 재앙을 씻어 오사(汚邪)하고 구루한 것 없애면 오곡은 풍요로워 곳간을 채우네.”라고 하였습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넬 남자> 티모시 샬라메/듄파트 2 (1) | 2024.02.20 |
---|---|
봄의 절기/우수 (1) | 2024.02.19 |
배롱나무 꽃말과 배롱나무의 전설 (0) | 2024.02.16 |
경칩(驚蟄)/봄의 절기 (0) | 2024.02.16 |
발렌타인 데이/매달 14일의 풍속 (0) | 2024.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