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시대 왕은 하루 식사 횟수는 다섯 번입니다. 조선 시대에 왕은 하루에 다섯 번쯤 수라상을 받았습니다. 여기서 '수라'란 임금에게 올리는 밥을 높여 부르는 말입니다. 왕은 새벽에 일어나면 '자리조반(초조반)'이라 해서 아침 수라 전 가볍게 죽을 먹었습니다. 그다음에는 '조수라(아침 수라)' '주수라(점심 수라)' '석수라(저녁 수라)'의 세끼 수라상을 받았습니다. 밤에는 밤참인 야식도 먹었습니다. 자리조반과 주수라, 밤참 때는 죽이나 미음처럼 간단한 것을 올렸지만, 조수라와 석수라 때는 달랐어. 밥과 밑반찬은 기본. 이외에도 12개 접시에 반찬을 따로 담은 12첩 수라를 올립니다.
한국음식의 상 차리기는 한 상에 차리는 음식 이름의 가짓수를 뜻하기도 하고, 그 음식을 놓는 자리를, 정확히는 설찬(設饌)을 뜻하기도 한다.
한식상차림 종류
먹는사람수에 따라서는
1명, 혼자서 먹는 상차림은 외상(單)
2명이 먹는 상차림은 겸상(複)
2사람 이상이 한 상에 둘러앉아 먹을 때는 두리반상 또는 두레상, 교자상이라 한다.
먹는 시각에 따라서는
새벽시간에 먹는 초조반상
아침에 먹는 조반상
점심에 먹는 점심상
저녁에 먹는 저녁상
늦은 밤에 먹는 밤참, 야찬
끼니때 외어 먹는 상으로는 곁두리, 곁두리, 새참이 있다.
왕의 하루는 다섯 끼가 기본으로 초조반상, 조반상, 점심상, 저녁상, 야찬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초조반상(初朝飯床)은 새벽에 차려 내는 상으로 주로 타락죽이나 잣죽등 죽으로 된 상차림이었다. 타락 죽은 우유를 넣어 쑨 죽이다. 불린 쌀을 곱게 갈아 체에 밭쳐, 물을 부어 끓이다가 죽이 퍼질 때쯤 우유를 조금씩 넣어 멍울이 지지 않게 풀어준 후 소금, 설탕으로 간을 한 것이다. 타락(駝酪)이란 우유를 가리키는 옛말이며 쌀을 갈아서 물 대신 우유를 반 분량 넣어 끓인 무리죽이다. 조선왕조 때는 동대문 쪽의 낙산(酪山)에 목장이 있어 궁중에 진상을 하였다. 《지봉유설》(수락, 타락죽), 《규합총서》(타락죽 : 酡酪), 《조선요리제법》(타락죽)에 소개되어 있다. 초조반상차림의 음식은 궁중에서는 타락죽, 잣죽 이외에 응이로 율무가루나 녹말가루로 쑨 묽은 죽 또는 무리죽으로 쌀을 아주 곱게 갈아서 쑤는 죽을 기본으로 하고, 국물 있는 김치로 동치미 ·나박김치 ·열무김치와 맑은 찌개나 젓국찌개, 마른반찬 ·소금 ·꿀 등을 곁들인다.
아침상은 조반상, 점심에는 점심(點心)상, 저녁에는 저녁상으로 12첩(十二楪) 수라상차림이다.
밤이 깊어서 차려내는 상은 밤참 또는 야찬(夜饌)이라 한다.
끼니때 외에 먹도록 차려 내는 상을 곁두리 ·곁두리 ·새참이라 한다.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쉬운 베이킹. 카스텔라 레시피. 카스텔라 만드는법 (1) | 2023.05.13 |
---|---|
수퍼카본고장, 최고급 포도 식초(발사믹) 생산지 이탈리아 모데나 (0) | 2023.05.12 |
조선시대 수라간 요리사는 대부분 남자 '숙수' (1) | 2023.05.10 |
아주 사적인 동남아. 태국쌀국수. 카놈찐(카놈친)종류 (2) | 2023.05.07 |
포르투갈 디저트. 에그타르트의 유래는 수도원 (0) | 2023.05.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