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처서의 마법. 처서에 관련된 속담

by 달러박스 2023. 8. 22.
반응형

처서가 되면 더위가 사라진다고 하여 '처서의 마법'이라고도 불렀다. 그러나 지구온난화와 기상이변 현상으로 가늠하기 힘들다. 처서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드는 절기로, 양력으로는 823일경, 음력으로는 7월 중순에 해당한다. 태양의 황경(黃經)150˚에 달할 때부터 15°사이에 있을 때이며, 이 무렵이 되면 입추 무렵까지 기승을 부리던 더위도 한풀 꺾이면서 아침저녁으로 제법 선선한 가을바람이 불어오기 시작한다. '처서'라는 말은 바로 여기서 비롯되었다. 이때가 되면 논둑이나 산소의 풀을 깎아 벌초를 하는데, 처서가 지나면 풀도 더 자라지 않기 때문이다. 여름 동안 장마에 젖은 옷이나 책을 햇볕에 말리는 포쇄(曝曬)도 이 무렵에 하며,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기운을 느끼게 되는 계절이다. 옛날 중국에서는 처서 15일간을 5일씩 3후(三候)로 세분하여 ① 매가 새를 잡아 늘어놓고② 천지에 푸나무를 말려 죽이는 쌀쌀한 가을 기운이 돌며 ③ 논에서는 곡식이 익는다고 하였다.

 

처서에 관련된 속담

 '처서에 비가 오면 독의 곡식도 준다.'는 속담은, 이때 비가 내리면 흉년이 든다는 뜻에서 생긴 것이다. 즉 여름내 정성 들여 가꾼 오곡이 마지막 결실의 때를 맞아 맑은 바람과 따뜻한 햇볕의 기운을 받아 누렇게 익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비가 내리게 되면 곡식이 제대로 여물지 않아 1년 농사의 마무리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처서에 비가 오면 ‘십리에 천석 감한다.’는 속담은, 곡식이 흉작을 면하지 못한다는 믿음이 영남·호남·제주 등 여러 지역에서 전하여지고 있다.

 

그 밖에 '어정칠월 건들팔월'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는 칠월과 팔월이 어정어정 또는 건들건들하는 사이에 지나가 버린다는 뜻으로, 호미씻이도 끝나고 이제 추수할 일만 남았으므로 이 무렵이 되면 농촌이 한가해진다는 것을 빗대어 이른 말이다.

 

'어정뜨기는 칠팔월 개구리' 역시 이때의 한가함에서 비롯된 말로 마땅히 할 일은 안 하고 몹시 엉뚱하고 덤벙대기만 함을 비유한 속담이다.

 

'처서에 장벼 패듯' 속담은 처서(處暑)에 벼가 패듯이 무엇인가 한꺼번에 사방에서 나타나는 경우를 비유하여 이르는 속담이다. '입추(立秋) 때는 벼 자라는 소리에 개가 짖는다.'라는 속담이 있을 만큼 한여름에 벼는 쑥쑥 자라난다. 그리고 보름 정도 지나 처서(양력 8월 23일 무렵)가 되면 벼가 패서 올라오기 시작한다. 우후죽순(雨後竹筍)처럼 하루 이틀 사이에 벼 이삭이 올라온다. 벼농사에 바탕을 둔 이 같은 생활 체험에서 일이 사방에서 한꺼번에 터져 경황이 없는 상태를 비유하는 속담이 빚어졌다. 장벼의 ‘장’은 길다 [長]는 뜻이다. 농사일에 바탕을 둔 비슷한 속담으로 '장마에 논둑 터지듯 한다.'라는 표현이 있다.

 

'처서가 지나면 풀도 울며 돌아간다'는 속담은 처서(處暑)가 지나가면 모든 식물은 생육(生育)이 정지되어 시들기 시작한다는 데서 유래한 속담이다. 처서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끼어 있는 24 절기 중 하나로 8월 23일 무렵이다. 이때가 지나면 들에 있는 풀들이 더 이상 자라지 않거나 자란다 해도 그 정도가 미약하다. 그래서 농촌에서는 이 시기가 지나면 사료용으로 목초를 베어 말리기 시작한다. 또 논둑의 풀도 깎아주고 산소의 벌초도 한다. 여름내 매만지던 쟁기와 호미도 깨끗이 씻어 갈무리한다. 제주도에는 '처서 넘으면 풀 더 안 큰다.'라는 비슷한 속담이 있는데 속담치고는 직설적인 표현이다. 그에 비하면 풀이 시들고 말라 몸이 꼬이는 것을 ‘울며 돌아간다’라고 표현한 쪽이 훨씬 미감이 풍부하다. 농사일에 바탕을 둔 비슷한 속담으로 '장마에 논둑 터지듯 한다.'라는 표현이 있다.

 

'모기도 처서가 지나면 입이 삐뚤어진다'는 속담은 처서(處暑)가 지나면 더위도 고비를 넘어 날씨가 선선해지므로 극성을 부리던 모기도 기세가 약해지는 현상을 이르는 속담이다. 24절기의 하나인 처서는 양력 8월 23일 무렵이다. 이때가 되면 한 여름철 기승을 부리던 무더위도 한풀 꺾여 누그러진다. 그러면 저온에 약한 모기들도 사람의 피를 빨려고 극성을 부리던 육칠월에 비해 기세가 많이 꺾인다. 파리도 마찬가지다. 그 꺾이는 기세를 모기의 입이 삐뚤어지는 것으로 형상화했다. 감각적인 표현이다. 그러나 이즈음 도시의 모기들은 형세가 다르다. 처서가 지나도 입이 비뚤어지기는커녕 건물 지하에 숨어 있으면서 밤이면 나와 도시인들을 괴롭힌다.모기가 사라지는 시기를 나타내는 또 다른 속담으로는 '모기는 중양절(음력 9월 9일) 떡 먹고 죽는다.'가 있다.

 

 

 

칠월칠석 기도. 속담. 복을 부르는 음식

칠월칠석 저녁이면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동서로 마주한 견우성과 직녀성, 그리고 북두칠성 때문에 이 설화가 생겨난 것으로 봅니다. 하늘나라 목동인 견우와 옥황상제의 손녀인 직녀가 혼인하

dollarbox.tistory.com

24절기 .양력.음력. 24절기 기준

 

24절기 .양력.음력. 24절기 기준

24 절기는 양력일까요? 음력일까요? 15일 간격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이 각각 6개의 절기로 구성이 되어 있는 24절기는 양력입니다. 아주 오래전 농경시대부터 24 절기를 사용했기 때문에 음력으

dollarbox.tistory.com

입추(立秋) 유래와 속담

 

입추(立秋) 유래와 속담

태양의 황도(黃道)상의 위치로 정한 24절기 중 열세 번째 절기이다. 양력으로는 8월 8일 무렵이고, 음력으로는 7월로, 태양의 황경(黃經)이 135도에 있을 때이다. 대서(大暑)와 처서(處暑)의 사이에

dollarbox.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