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월칠석 저녁이면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동서로 마주한 견우성과 직녀성, 그리고 북두칠성 때문에 이 설화가 생겨난 것으로 봅니다. 하늘나라 목동인 견우와 옥황상제의 손녀인 직녀가 혼인하였습니다. 이들이 혼인한 후 놀고먹으며 게으름만 피우자 옥황상제가 크게 노하여 견우는 은하수의 동쪽에, 직녀는 은하수의 서쪽에 떨어져 살게 하였습니다. 그래서 이 부부는 서로 그리워하면서도 건널 수 없는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애태우면서 지내야 했습니다. 견우와 직녀의 안타까운 사연을 안 까마귀와 까치들은 해마다 칠월칠석날에 이들을 만나게 해 주기 위하여 하늘로 올라가 다리를 놓아주었습니다. 이것이 오작교입니다. 그래서 견우와 직녀는 칠월칠석날이 되면 이 오작교를 건너 서로 그리던 임을 만나 일 년 동안 쌓였던 회포를 풀고 다시 헤어집니다. 구전 설화로 전해져 오고 있습니다. 설화에 나오는 견우성과 직녀성은 별자리와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은하수 동쪽과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독수리 별자리의 알타이르(Altair)별과, 거문고 별자리의 베가(Vega)별을 의미하는데, 이 두 별은 칠월칠석 무렵이면 천장 부근에서 보이게 되므로 마치 일 년에 한 번씩 만나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고 합니다. 칠월칠석 설화 역시 이 두 별을 보고 유래된 것으로 추측합니다.
칠월칠석에 하는 기도 풍습
칠석날은 칠성신과 관련이 있어 절에서는 신도들이 칠성각에서 무병과 장수를 비는 기도를 드린다고 합니다. 농경사회에서 칠석날에는 칠성님이 하늘에서 내려와서 논과 밭을 점검하시며 돌아보신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날은 해가 뜨기 전에는 칠성님이 다닌다고 해서 사람들이 바깥출입을 하지 않고 집안에만 머문다고 합니다. 칠석날 하루 전에는 논과 밭을 깨끗하게 정리해두고 칠성님이 논과 밭이 깨끗이 정리되어 있다면 복을 준다고 합니다. 과거에는 모든 복과 덕은 부엌에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음력 7월 7일 칠석에는 각 가정에서 할머니, 어머니들이 장독대 위에 정화수를 떠 놓고 밀전병과 햇과일을 갖추어서 가족들의 건강과 집안의 평안을 비는 기도를 드린 전통이 있습니다. 이 의식은 우리몸을 구성하는 물과 달빛과 정화수 한 그릇은 곧 의식을 바로잡고 타인을 위한 그리고 가정 내 가족들의 건강과 바라는 바 소원 등을 정성 스러이 생각과 말과 행동으로 일치시키는 행위로 생각은 현실을 창조한다는 근본 바탕입니다. 우리 인체는 소우주로 의식을 바로잡고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한 간절한 기도의 행위로 사랑과 함께할 때 전면적 자기력은 강한 빛을 띠고, 더 깊은 자아는 선(善)과 함께 공명합니다. 지금도 이런 풍습이 남아 있어 각 가정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기도를 합니다.
칠월칠석 속담
까마귀도 칠월 칠석은 안 잊어버린다.
중요한 사실이나 날짜는 명심해서 잊지 말 것을 일깨울 때 쓰는 속담입니다. 칠월 칠석 견우직녀의 전설과 함께 까마귀의 생태를 통해 사람을 깨우치고자 한 데서 이 속담이 형성된 것입니다. 또한 까마귀와 까치는 자기를 헤코지한 사람의 얼굴을 삼 년간 기억할 정도로 인지력이 있다고도 합니다.
칠석날 까치 머리같다.
칠월칠석에 까마귀와 까치가 머리를 맞대어 오작교를 놓아서 견우와 직녀를 만나게 할 때 머리털이 다 빠졌다는 이야기에서 나온 말로,머리털이 빠진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칠월칠석 복을 부르는 음식
밀음식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밀가루 음식은 철이 지나 밀냄새가 난다고 하여 꺼려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밀을 이용한 음식을 마지막으로 먹는 날이 칠석 무렵이라고 합니다. 밀음식으로는 밀국수와 밀전병이 대표적인 음식으로 많이 먹었다고 합니다.
오늘날은 매일 먹는 빵. 국수. 부침개 등이 복을 부르는 음식이라고 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처서의 마법. 처서에 관련된 속담 (1) | 2023.08.22 |
---|---|
8월 18일은 '쌀의 날' 쌀을 세는 단위 (0) | 2023.08.22 |
<형따라 마야로>해먹의 유래. 해먹의 용도 (1) | 2023.08.19 |
콜레스테롤 수치 높은 이유와 콜레스테롤 수치 낮추는 방법 (0) | 2023.08.13 |
백혈구 수를 높이는 방법. 백혈구 수 증가하는 음식 (0) | 2023.08.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