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

약과(藥果).약식(藥食).약주(藥酒)의 유래

by 달러박스 2023. 2. 5.
반응형

약과.약식.약주의 공통은 약이다. 이 약은 주재료가 꿀. 참기름. 찹쌀. 밤. 대추로 몸에 이롭다 생각해서 조상들이 붙인 명칭이다.지금은 먹는 것 못지않게 다이어트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지만 보릿고개. 혼분식 장려 등 쌀밥이라도 배불리 먹었으면 하든 시기가 그리 오래전의 일이 아니다. 요리 재료 중에서 그 시절에  귀하고 몸을 이롭게 한다고 해서 만든 음식에 '약(藥)'을 붙인 것이다.

약과의 유래

약과

약과는 유밀과()이다.

즉, 약()이 되는 과자()라는 뜻으로 사치스러운 고급 과자로써 정월에 먹거나 통과의례나 명절, 잔치, 제사 때의 필수 음식이었고 고려 시대 때 널리 유행하여 왕족과 귀족, 사원과 민가에서 즐겨 만들어 먹었다.특히 “왕족과 반가, 사원에서 유밀과를 만드느라 곡물과 꿀, 기름 등을 많이 소비함으로써  물가가 올라 민생을 어렵게 한다.”라고 하여 고려 명종 22년(1192)과 공민왕 2년(1353)에는 유밀과 제조 금지령을 내렸다.이후 조선시대에는 약과가 대표적인 기호식품의 자리를 차지하였으며 《오주연문장전산고》와 1613년 《지봉유설()》에 “그 재료인 밀은 춘하추동을 거쳐서 익기 때문에 사시()의 기운을 받아 널리 정()이 되고 꿀은 백약()의 으뜸이며, 기름은 살충() 하고 해독() 하기 때문이다.”라고 재료를 설명하고 있다.1948년 《조선상식》에는 “조선에서 만드는 과자 가운데 가장 상품이며 온 정성을 들여 만드는 점에서 세계에 그 짝이 없을만큼 특색 있는 과자다.”라고 하였으며 《성호사설》에는 “약과는 여러 가지 과실 모양이나 새의 모양으로 만들었던 것이나, 훗일에 고이는 풍습이 생겨나면서 넓적하게 자르게 되었다.”라는 기록을 볼 수 있다.

 

MZ세대 '할매 입맛' 인절미.양갱. 약과. 흑임자

 

MZ세대 '할매 입맛' 인절미.양갱. 약과. 흑임자

198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출생한 ‘Z세대’를 통칭하여 MZ세대라 한다. 이 MZ세대가 최근에 옛날 음식을 찾고 있는 트렌드로 할머니 입맛

dollarbox.tistory.com

 

약식(약밥)의 유래

약식

21대 비처 왕(신라 소지왕 10년) 때에 왕이 천천정(天泉亭)에서 여가를 즐기고 있는데, 갑자기 왕 앞에 쥐와 까마귀가 나타났다. 쥐가 사람의 말로 까마귀를 쫓아가 보라고 하여 왕이 사람을 시켜 까마귀가 가는 곳을 쫓아가라고 하였다.까마귀가 어느 연못 근처에서 사라졌는데, 그 연못 속에서 한 노인이 글을 올렸다.

그 글에는 “이 봉투를 열어 보면 두 사람이 죽고 열어 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는다.”라고 되어 있었다.

왕은 한 사람이 죽는 것이 낫겠다고 생각하였으나 일관(日官)이 한 사람은 곧 왕을 가리키므로 봉투를 열어 보도록 간청하였다. 봉투를 열어 보니 ‘射琴匣(거문고 상자를 쏘아라)’이라고 적혀 있어 금갑을 쏘았더니 내전에 드나드는 중과 궁주가 있었다. 이 둘은 왕을 시해할 계략을 짜고 있었다고 전한다.이러한 일이 있은 후에 신라 풍속(國俗)에 매해 정월 첫 번째 해일(亥日), 자일(子日), 오일(午日) 등에 모든 일을 조심하고 함부로 행동하지 않았다. 그리고 16일을 오기일(烏忌日)이라 하여 찰밥(糯飯)으로 제사를 지냈으며 지금도 그렇게 한다.이 설화는 왕을 위험에서 구해 낸 까마귀에게 보답하는 의미로 정월 16일에 찰밥을 만들어 제사를 지냈다는 내용이다.1669년에 간행된 『동경잡기(東京雜記)』에는 이 설화의 시기를 488년(소지왕 10) 정월 대보름의 일로 규정하고, 신라 때부터 보름에 까마귀를 제사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풍속이었다고 전한다. 또한 조선시대 여러 문집에서도 정월 대보름 찰밥(약밥)의 기원을 『삼국유사』의 이 설화에서 유래하고 있다고 전한다.

약주의 유래

동동주

우리는 일반적으로 술을 약주라고 한다.

약주는 술의 한 종류이기도 하지만 술을 일컫는 대명사이기도 하다.약주의 유래는 선조 때의 문신 서성(徐賂)에 얽힌 일화가 전해진다. 조선 후기 실학자 서유구가 쓴 ‘임원경제지’에서 “조선 중종 때 약현에 살았던 이씨 부인(서성의 어머니)이 남편을 잃고 술장사를 했는데, 좋은 청주를 빚어 그 명성이 높았다고 하며, 그의 집이 약현에 있었기 때문에 그 집 술을 약산춘이라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서성의 집에서 빚은 술이 장안에서 가장 유명하였으며, 서성의 호가 약봉(藥峰)이었고, 그가 사는 곳이 약현(藥峴·지금의서울 중림동)이어서 서성의 집(약현 술집)에서 빚은 좋은 맑은 술이라는 데서 ‘약주’가 유래되었다고 한다.

술 이름은 대개 사용하는 원료나 술의 색에 의해 명명되는데 특이하게 술의 모습을 보고 이름 지어진 것이 있는데 바로 ‘동동주’가 그것이다. 동동주는 발효가 완료된 시점에 누룩의 효소에 의해 쌀알의 속 부분은 삭아 없어지고 겉 부분은 섬유질이 많아 쌀알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술 위에 밥알이 동동 뜨는 모습을 나타낸 의태어이다. 한자로는 ‘부의주’라고도 하는데 뜰 부(浮) 자에 개미 의(蟻) 자를 써서 ‘밥알이 떠있는 모습이 개미 같다’라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지금은 흔히 접할 수 있는 찹쌀. 참기름.  밤. 대추. 꿀이 우리 선조에게는 얼마나 귀한 재료였는지를 생각하면서 음미해 보는 것도 필요할 것 같다.>

조선시대 수라간 요리사는 대부분 남자 '숙수'

 

조선시대 수라간 요리사는 대부분 남자 '숙수'

수라간( 水刺間 )의 수라(水刺)는 원래 몽고어(蒙古語)로서 탕미(湯味)를 뜻하며, 수라를 짓는 주방(廚房)을 의미합니다. 전통적으로 반상차림에서 일반상차림을 밥상이라고 하고 웃어른에게 차

dollarbox.tistory.com

전통음료. 오미자물로 만든 화채(花菜). 꿀물로 만든 화채

 

전통음료. 오미자물로 만든 화채(花菜). 꿀물로 만든 화채

화채는 전통음료로 여름에 많이 만드는 차가운 음료이다. 겨울철에는 식혜·수정과가 으뜸이라면, 봄부터 가을까지는 화채의 계절이다. 화채는 신맛이 나는 오미자물을 주로 하는 것과 꿀물을

dollarbox.tistory.com

 

피부 미인이 먹는 음료는 수정과

 

피부 미인이 먹는 음료는 수정과

얼마전 고현정 님이 마이보그 유튜브 채널을 통해 가방속에 뜻밖의 음료 수정과가 나왔다. 즐겨 먹는 음료라고 했다. 달달하면서 상큼한맛을 좋아한다고 ~~ 먼저 수정과의 어원을 '물에 담근 과

dollarbox.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