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살은 떡을 눌러 갖가지 무늬를 찍어 내는 판입니다. 떡본 또는 떡살·병형(餠型)이라고도 합니다.
떡살의 재질은 보통은 단단한 소나무 · 박달나무 · 감나무 · 참나무 등으로 만드는데, 사기나 백자로 만들기도 했어요. 떡살 무늬는 원형이나 긴 네모 등 여러 가지예요. 무늬는 기하학적인 무늬가 대부분이고, 나비 무늬나 새 무늬, 꽃무늬, 선무늬가 음각이나 양각으로 떡 위에 새깁니다. 떡을 적당한 크기로 썰어 표면에 참기름을 바르고 떡살로 누르면 무늬가 새겨져요. 단옷날의 수리취 절편에는 수레 무늬가 있는 떡살로 수레 무늬를 내고, 잔치에는 꽃 모양을 찍어 넣고, 사돈이나 친지에게 보내는 선물용에는 길한 무늬를 넣어 기름하게 만들기도 했어요.
떡살은 떡을 먹음직스럽게 보이도록 하고, 좋은 운을 바라는 의미도 담겨 있었다고 해요. 또한 떡살의 무늬는 각 가정마다 고유한 모양을 만들어 사용했다고 합니다.
고려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떡살은 누르는 면에 음각 혹은 양각의 문양이 있어서 절편에 찍으면 문양이 아름답게 남아요. 사용하는 방법은 적절한 크기로 잘라낸 떡에 물기를 묻혀서 떡살로 도장을 찍듯이 누르면 됩니다. 이렇게 찍은 떡은 어느 정도 굳으면 그 문양이 선명하게 나타나요.
떡살은 재질에 따라 나무떡살과 자기 떡살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단단한 소나무 · 박달나무 · 감나무 · 참나무 등으로 만드는 나무떡살은 1자 정도의 긴 나무에 4∼6개의 각기 다른 무늬를 새긴 것입니다. 사기·백자·오지 같은 것 등으로 만드는 자기 떡살은 대개 보통 5∼11㎝ 정도의 둥근 도장 모양으로, 손잡이가 달려 있어서 잡고 꼭 누르게 되어 있다. 특히 궁중에서 쓰던 사기떡살은 고급스러운 백자(白磁)로 만든 것이 많습니다.
떡살의 문양은 주로 부귀(富貴)와 수복(壽福)을 기원하는 뜻을 담고 있는 길상(吉祥) 무늬를 비롯하여 장수와 해로를 뜻하는 십장생(十長生)·봉황·국수무늬, 잉어·벌·나비·새·박쥐 등의 동물무늬와 태극무늬, 빗살 등의 기하학적 무늬, 만(卍) 자 등의 불교적인 무늬와 꽃· 수레바퀴무늬 등 아주 다양합니다.
특히 떡살의 문양은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어서 좋은 일, 궂은일, 돌, 회갑 등 용도에 따라 다르게 사용했습니다. 단옷날의 수리취 절편에는 수레무늬, 잔치떡에는 꽃무늬, 사돈이나 친지에게 보내는 떡에는 길상무늬를 찍었습니다. 특히 선물용으로 보내는 떡은 그 문양에 따라 보내는 사람의 마음이 담겨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떡살의 무늬는 일반적으로 가문에 따라 독특한 문양이 정해져 있었습니다. 그 문양은 좀처럼 바꾸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다른 집안에 빌려 주지도 않았습니다. 부득이하게 떡살의 문양을 바꾸어야 할 때에는 문중의 승낙을 받아야 할 만큼 집안의 상징적인 무늬로 통용되었습니다.
"보기 좋은 떡이 맛도 좋다"는 말이 있듯, 우리네는 한번 먹고 나면 없어져 버릴 떡 하나라도 보는 즐거움으로 구미를 돋웠습니다. 생활의 사소한 것 하나에도 의미를 부여하고 치장하기를 즐기던 우리 문화의 상징성을 보여주는 떡살은, 선조들의 격조 있던 음식문화를 대변하고 있습니다.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절미에서 유래한 인절미 (0) | 2023.12.12 |
---|---|
2023년 '애동지'에는 팥시루떡. 팥시루떡 만드는법 (0) | 2023.12.12 |
<시루떡> 콩시루떡 . 팥시루떡 (1) | 2023.12.08 |
동지, 동지 팥죽<애기동지. 중동지. 노동지> (1) | 2023.12.07 |
'임금님 (도토리)묵' 상수리나무 열매 (0) | 2023.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