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추석 명절 <민속 놀이>

by 달러박스 2024. 9. 4.
반응형

추석은 중추절, 가배, 한가위라고도 합니다. 추석은 정확한 유래는 알 수 없지만, 고대부터 있었던 에 대한 신앙에서 그 뿌리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전기가 없던 시절의 은 맹수나 적의 습격을 알아차릴 수 있는 아주 고마운 존재였습니다. 그래서 일 년 중 가장 큰 만월을 이루는 음력 815일이 큰 명절이 된 것이죠. , 추석이 있는 가을은 곡식과 과일들을 수확하는 계절이기 때문에 한 해 농사를 잘 지을 수 있도록 도와준 조상님들께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제사를 지내기도 한답니다. 추석 명절 중 우리나라 전래 민속놀이로 강강술래와 소놀이를 소개하겠습니다.

 

 

강강술래

추석에 즐기는 민속놀이로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강강술래입니다. 강강술래는 추석 때 풍작과 풍요를 기원하는 놀이로, 밝은 보름달이 뜬 밤에 수십 명의 마을 처녀들이 손을 잡고 동그랗게 원을 만들어 도는 것을 기본적인 규칙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강강술래는 추석날 밤이나 정월 대보름날 밤에 전라남도 서남 해안지방에서 행하는 노래와 무용과 놀이가 혼합된 성인여자놀이입니다. 1966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주로 해남 · 완도 · 무안 · 진도 등 전라남도 해안일대에서 성행되어 왔습니다. 노래와 무용과 놀이가 혼합된 부녀자들의 놀이로 주로 추석날밤에 행하여지며 정월대보름날밤에 하기도 합니다. 명칭은 ‘강강수월래’ 또는 한자로 ‘强羌水越來(강강수월래)’로 표기하는 일도 있으나 ‘강강술래’가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진양조로 느리게 노래를 부를 때는 ‘강강수월래’로 길게 발음합니다.

 

강강술래의 유래

유래는 여러 설이 전하고 있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이순신(李舜臣)과 관련된 유래와 원시시대 부족의 달밤  축제설이 있습니다.

 

▶이순신 관련 설

임진왜란 때 이순신이 해남 우수영에 진을 치고 있을 때, 적군에 비하여 아군의 수가 매우 적었습니다. 그래서 이순신은 마을 부녀자들을 모아 남자차림을 하게 하고, 옥매산() 허리를 빙빙 돌도록 했습니다.

바다에서 옥매산의 진영을 바라본 왜병은 이순신의 군사가 한없이 계속해서 행군하는 것으로 알고, 미리 겁을 먹고 달아났다고 합니다. 이런 일이 있은 뒤로 근처의 마을 부녀자들이 서로 손을 잡고 빙빙 돌면서 춤을 추던 관행이 강강술래로 정착되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강강술래>의 기원은 이순신의 창안에서 비롯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한자로는 ‘强羌水越來(강강수월래)’라고 표기하고, ‘강한 오랑캐가 물을 건너온다.’는 해석은 바로 여기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원시시대 달밤 축제 설

<강강술래>는 원시시대의 부족이 달밤에 축제를 벌여 노래하고 춤추던 유습(풍습)에서 비롯된 민속놀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고대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달의 운행원리에 맞추어 자연의 흐름을 파악하였고, 따라서 우리나라 세시풍속에서 보름달이 차지하는 위치는 가장 중요한 것이었습니다. 즉, 달이 가장 밝은 추석날이나 정월대보름날이면 고대인들은 축제를 벌여 춤과 노래를 즐겼고, 이것이 정형화되어 <강강술래>로 전승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전승된 <강강술래>를 이순신이 의병술()로 채택하여 승리를 거둠으로써 널리 보급되고 더욱 큰 의미를 부여받게 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강강술래 놀이 진행방법

놀이의 진행과정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추석이 가까워지면 소녀들에 의하여 <강강술래>가 시작된다. 이른바 ‘아기 강강술래’입니다. 소녀들이 수명 또는 10여 명이 모여 손과 손을 잡고 마당에 원을 그리면서 빙빙 돌며 노래하고 춤을 춥니다.

2> 이렇게 며칠을 계속하다가 음력 8월 14일 밤이나 15일 밤에는 어른들에 의해 본격적인 <강강술래>가 벌어집니다. 동쪽 산 위에 만월이 솟아오르기 시작하면 젊은 아낙네와 큰 애기들이 마을의 넓은 마당이나 평지에 모입니다. 20∼30명의 젊은 부녀자들이 모이고 달이 뜨면 아낙네들은 손과 손을 잡고 오른쪽으로 돌면서 <강강술래>를 시작합니다.

목청 좋고 소리 잘하는 여인이 맨 앞에 서서 메기는 소리를 하면, 나머지 사람들은 “강강술래” 하고 받는 소리를 합니다. 노래는 처음에는 진양조의 느린 가락으로 부르다가 중모리 · 중중모리로 차츰 빨라져서 마지막에는 자진모리로 매우 빠르게 부르며, 이에 따라 춤도 빠른 속도로 추게 됩니다. 한바탕 뛰고 노는 시간은 일정하지 않고, 맨 앞에서 노래를 선창 하는 사람의 능력에 따라서 길 수도 짧을 수도 있습니다.

‘강강술래’ 소리는 구절마다의 후렴이며, 가사는 일정하게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고, 가창자에 따라 즉흥적으로 얼마든지 길게도 짧게도 부를 수가 있으며, 가락 또한 완급을 자유롭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집살이노래>나 <베틀가>가 중간중간에 삽입될 수도 있고, 타령이나 노랫가락의 구절이 삽입되는 수도 있습니다. 가락은 육자배기와 마찬가지로 미 · 라 · 시 · 도 · 레의 전형적인 남도악의 계면조로 되어 있습니다.

 

 

소놀이

                                                                                                                                                                                 

소놀이 또는 소먹이놀이라고도 하며 추석 때 소를 중심으로 놀이를 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한 해의 농사의 풍요를 즐기는 세시놀이였습니다. 소놀이는 우니라나 농경사회의 전통에서 생겨난 놀이로, 농사의 중심인 소와 상일꾼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해서 추수를 앞두고 추석날 놀이를 즐겨하였습니다. 또 정월대보름에도 즐겨하는 놀이었습니다.

 

소놀이 방법

진짜 소를 이용하여 하는 놀이가 아니라 소를 한지를 이용하여 만들어 줍니다. 한지에 흙빛 색물감을 칠하고 들기름을 먹여 소의 얼굴을 만들고, 막대기로는 소의 뿔을, 새끼를 꼬아 꼬리를 만들었습니다. 몸통은 멍석을 이용했으며 그 크기는 성인남자 두사람정도가 들어갈 수 있는 큰 사이즈였습니다. 소놀이는 농악대와 소로 가장()한 사람들 이 외에도 여러 사람들이 함께 참여하는데, 마을 사람들이 농악대를 구성해서 농악놀이를 한 뒤에 모이면 놀이가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남자 두 사람이 한 조가 되어 소놀이를 합니다. 두 사람에게 멍석으로 만든 소를 씌우면 앞사람은 막대기로 뿔을 만들어 소의 머리를 구성하고, 뒷사람은 새끼를 꼬아서 꼬리를 만들어 소 시늉을 합니다. 이처럼 소놀이 도구가 만들어지면 소놀이를 벌일 수 있는 준비가 끝납니다. 그리고 한해에 농사를 잘 지은 사람이나 마을의 부농()에게 가장한 소를 데리고 가서 소놀이를 합니다.

 

소놀이 구성

집집마다 방문하면서 소놀이를 하는데 내용은 문놀이, 소맞이놀이, 끝막음놀이로 구성됩니다.

▶문놀이는 문굿 가락을 치고 가서 일단 집안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놀이의 서두에 해당한다.

▶대문 앞에서 “소가 배가 고프고 구정물을 먹고 싶어 왔으니 달라”라고 놀이패의 상쇠가 외치면, 집주인이 나와서 일행을 맞이하고 마당에서 한바탕 놀이를 벌인다.

▶소를 앞세우고 일행들이 앞마당으로 들어가서 농악을 치며 노래하고 춤추면서 놀이를 벌이면 집주인은 술, 떡, 찬을 차려서 이들을 대접한다. 주인과 한바탕 어울려서 놀이를 한껏 한 뒤에 소놀이를 마친다. 다른 집에 가서도 이 놀이를 반복하며, 해가 지도록 노는 풍습입니다.

▶한편 이 놀이의 마지막 부분에 그해 가장 일을 잘한 상머슴을 뽑아 소에 태우는 놀이를 합니다. 이 놀이를 상머슴놀이라고 하는데, 마을을 돌면서 자랑을 하고 뽑힌 사람을 높이 내세웁니다. 소 등에 상일꾼을 태우고 그의 공적을 치하하는 것입니다. 아울러서 상일꾼만이 아니라 소에게도 영광을 돌려서 이를 기념하는 놀이를 벌이는 것이 이 놀이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듬해 머슴의 새경을 정할 때 상일꾼은 일정한 우대를 받는다고 합니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성균관 차례상

 

<추석> 차례상 차리는 법/성균관 차례상

'차례'는 제사의 한 종류로, 제사는 크게 기제(忌祭)·차례(茶禮)·묘제(墓祭)입니다.차례는 설날과 추석 등 명절에 지내는 제사로, 차례상은 이러한 차례를 지내기 위해 차리는 상(床)을 말합니

dollarbox.tistory.com

송편의 종류 . 2월 삭일송편,노비송편 . 노비송편 유래

 

송편의 종류 . 2월 삭일송편,노비송편 . 노비송편 유래

송편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명절인 추석(한가위) 음식이다. 반월형의 송편에 꿀·밤·깨·콩 등을 넣어 맛있게 쪄냈으며 이때 솔잎을 깔아 맛으로만 먹은 것이 아니고 후각적 향기와 시각적인

dollarbox.tistory.com

<중국> 추석명절. 월병(月餠.Mooncake).위에삥

 

<중국> 추석명절. 월병(月餠.Mooncake).위에삥

월병은 중국의 전통 과자로, 중국 중추절에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다. 위에삥(월병)은 밀가루와 라드(돼지의 지방 조직을 정제하거나 녹여서 얻는 흰색의 고체 또는 반고체 지방), 설탕, 달걀 등

dollarbox.tistory.com

<일본> 추석명절. 오봉절(Bon Festival).당고. 봉오도리

 

<일본> 추석명절. 오봉절(Bon Festival).당고. 봉오도리

일본의 추석 명절, 오봉(Bon Festival) 가까운 나라 일본에서도 추석과 비슷한 명절이 있는데, 이를 '오봉(Bon Festival)'이라고 합니다. 오봉은 8월 15일에 열립니다. 오봉 (Bon Festival)이라는 명절은 불교

dollarbox.tistory.com

반응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단 오르기 운동 효과  (4) 2024.09.19
흥선대원군의 별서< 석파정>  (1) 2024.09.09
운동 중 적절한 수분 섭취량  (3) 2024.09.02
노화방지를 위한 생활습관  (11) 2024.08.31
조선시대 왕의 하루 일과  (3) 2024.08.2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