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음식305

쉬운 베이킹. 카스텔라 레시피. 카스텔라 만드는법 카스텔라라는 명칭은 '카스티야의 빵'이란 뜻인 포르투갈어 팡 드 카스텔라(포르투갈어: pão de Castela)에서 유래했다. 카스티야는 현재 스페인에 위치한 지방이다. 유럽에서 '스페인의 빵'이라는 이름을 한 스펀지케이크가 있다. 포르투갈의 팡 데 에스파냐(Pão de Espanha), 프랑스의 팽 데스파뉴(Pain d'Espagne), 이탈리아의 판 디 스파냐(Pan di Spagna), 그리스의 판테스파니(Pantespani)라는 이름은 모두 스페인의 빵이라는 뜻이다. 16세기 포르투갈은 일본에서 교역과 선교 활동으로 일본에서 개항된 항구였던 나가사키시는 그 중심지 중 하나였다. 포르투갈 상인들은 진기한 문물들을 일본으로 전파했는데 조총, 담배, 호박 등이 대표적이며 그 중에서는 카스텔라도 있었다.. 2023. 5. 13.
수퍼카본고장, 최고급 포도 식초(발사믹) 생산지 이탈리아 모데나 텐트 밖은 유럽 시간 수 오후 8:40 (2022-08-03~) 출연 유해진, 진선규, 박지환, 윤균상 채널 tvN 모데나는 이탈리아 북부 에밀리아로마냐주의 도시로 1598년 에스테가(家)의 본거지가 되어 학문과 예술의 중심지로서 번성했다. 그때를 짐작할 수 있는 궁전, 박물관, 미술관, 화랑 등이 많다. 로마네스크풍의 모데나 대성당은 유네스코에서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이탈리아 슈퍼카의 본고장으로도 유명한데,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페라리, 람보르기니, 마세라티 , 파가니가 모두 이 도시에서 생겨난 브랜드다. 모데나는 깊은 맛과 향의 최고급 포도 식초인 발사믹 식초의 생산지로도 유명하다. 모데나는 이탈리아 북부 에밀리아로마냐주에 속한 도시이며 포강 계곡 남쪽에 위치한다. 세키아와 파나로강이 .. 2023. 5. 12.
조선시대 왕의 식사 . 하루 다섯끼 조선 시대 왕은 하루 식사 횟수는 다섯 번입니다. 조선 시대에 왕은 하루에 다섯 번쯤 수라상을 받았습니다. 여기서 '수라'란 임금에게 올리는 밥을 높여 부르는 말입니다. 왕은 새벽에 일어나면 '자리조반(초조반)'이라 해서 아침 수라 전 가볍게 죽을 먹었습니다. 그다음에는 '조수라(아침 수라)' '주수라(점심 수라)' '석수라(저녁 수라)'의 세끼 수라상을 받았습니다. 밤에는 밤참인 야식도 먹었습니다. 자리조반과 주수라, 밤참 때는 죽이나 미음처럼 간단한 것을 올렸지만, 조수라와 석수라 때는 달랐어. 밥과 밑반찬은 기본. 이외에도 12개 접시에 반찬을 따로 담은 12첩 수라를 올립니다. 한국음식의 상 차리기는 한 상에 차리는 음식 이름의 가짓수를 뜻하기도 하고, 그 음식을 놓는 자리를, 정확히는 설찬(設饌.. 2023. 5. 10.
조선시대 수라간 요리사는 대부분 남자 '숙수' 수라간( 水刺間 )의 수라(水刺)는 원래 몽고어(蒙古語)로서 탕미(湯味)를 뜻하며, 수라를 짓는 주방(廚房)을 의미합니다. 전통적으로 반상차림에서 일반상차림을 밥상이라고 하고 웃어른에게 차리는 상은 진지상이라고 하였습니다. 임금님이 드시는 밥상은 수라상으로 12첩반상으로 차렸습니다. 수라상에 차린 음식들은 조선 팔도에서 바친 가장 좋은 농산물로 만든 것이었습니다. 좋은음식을 드시고 나라를 잘 다스려 달라는 뜻입니다. 흉년이 들어 백성이 어려움에 처하면 왕은 명령을 내려 수라상의 반찬 수를 줄였다고 합니다. 백성과 어려움을 함께 나누겠다는 뜻입니다. 왕이 식사할 때는 보통 세 개의 상이 차려집니다. 왕 앞에 크고 둥근 밥상인 대원반이 놓이고, 그 옆에는 음식에 독이 들었는지 검사하는 기미 상궁의 작고 둥근.. 2023. 5. 10.
아주 사적인 동남아. 태국쌀국수. 카놈찐(카놈친)종류 아주 사적인 동남아 서로 다른 목적으로 떠난 네 남자의 지극히 “사적인” 동남아 탐방기. 개인주의는 기본, 사사로운 감정은 환영! 각자도생의 결과는 위아래 없는 케미?! 아무도 몰랐던, 새로운 동남아를 파고드는 100% 사심 기반 여행 버라이어티 시간 월 오후 10:10 (2023-03-27~) 출연 이선균, 장항준, 김도현, 김남희 채널 tvN 카놈찐이란 결혼이나 명절 등 큰 행사가 있을 때 주로 먹는 태국 전통 쌀국수이다. 카놈친의 어원은 현대의 태국어로 ‘중국의 과자’ 혹은 몬족어로,몬족은 현재 태국과 미얀마에 살고 있는 소수민족으로 ‘쌀을 가루 내어 익힌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태국 사람들은 결혼식이나 축제 같은 행사를 할 때 카놈친을 빼놓지 않고 먹었다. 그 이유는 카놈친처럼 긴 음식을 먹어야.. 2023. 5. 7.
포르투갈 디저트. 에그타르트의 유래는 수도원 에그타르트는 달걀노른자, 생크림 등을 섞어 만든 커스터드크림으로 속을 채운 파이이다. 포르투갈의 디저트이다. 포르투갈에서는 ‘파스탈 데 나타(Pastel de nata)’라고 부른다. 에그타르트의 원조 최초의 에그타르트 레시피는 리스본 도심에서 서쪽으로 약 6.5km 떨어진 벨렘 지구의 제로니모스 수도원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한다. 수녀와 수사는 제복에 풀을 먹이는데 달걀흰자를 사용하고 남은 노른자를 활용하여 에그타르트를 만들어 팔았던 것이다. 자유주의 운동이 일어난 1820~1830년대에 포르투갈 전역의 수도원이 문을 닫았고 수사들은 이 레시피를 인근의 설탕 정제 공장에 팔았다. 그 후 리스본에 사는 클라리냐(Clarinha) 가족이 이를 구매해 1873년 ‘파스테이스 드 벨렘(pasteis de be.. 2023. 5.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