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상차림. 반상차림. 반상차림종류. 반상기명.상차리는법
반상이란 밥을 주식으로 하여 여러 가지 반찬과 함께 차려내는 고유의 일상식 상차림이다. 외상(1명이 먹는 것)이 원칙이다. 반상을 차릴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재료나 조리법이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식품 배합이나 조리법의 원칙이 밥을 먹기에 알맞도록 배려된 상차림이어야 한다. 반상을 차릴 때에는 그 종류에 따라 밥과 반찬의 내용과 형식이 정해져 있는데 반찬의 가짓수에 따라 3첩, 5첩, 7첩, 9첩, 12첩(수라상) 등으로 나뉜다. 첩이란 밥, 국, 김치, 조치, 장류 외에 쟁첩(반찬을 담는 그릇)에 담는 반찬을 말한다. 반상차림의 종류 ① 3첩 반상 : 기본적인 밥, 국, 김치, 장(1가지. 간장) 이외에 세 가지 반찬을 내는 반상. 반찬으로는 나물(생채나 숙채), 구이 혹은 조림, 마른 반찬이나 장과 ..
2023. 3. 2.
봄 나물 종류 고르는법.영양.효능
봄나물 종류 봄을 알리는 나물 쑥, 냉이, 달래, 씀바귀, 미나리 특징을 알아봅니다. 하우스 재배가 도입 됨에 따라 계절식품의 의미가 퇴색되었지만, 그래도 제철에 나오는 재료가 가장 신선하고 영양적으로도 풍부하고 경제적이다. 쑥 산이나 들뿐만 아니라 도심의 공원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쑥은 단군 신화에 등장할 정도로 역사가 오래된 식재료이다. 마늘, 당근과 함께 성인병을 예방하는 3대 식물로 꼽히는 쑥은 특유의 향이 있어 샐러드나 무침, 국, 전, 겉절이, 떡류, 밥, 파스타, 면류 등에 단독으로, 또는 다른 식재와 어울려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약용, 미용으로도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쑥 입욕제를 넣은 쑥탕에서 목욕을 하면 신경통이 가시는 효과가 있다. 예로부터 단옷날에는 쑥 잎과 멥..
2023. 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