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305

트러플.'버섯의 모차르트' '부엌의 다이아몬드' 송로버섯(트러플)을 '부엌의 다이아몬드' '버섯의 모차르트' '봄의 진미'라고 극찬했다. 유럽에서는 송로버섯을 트러플(Truffle)이라 부른다. 못생긴 감자처럼 모양이 울퉁불퉁해 버섯처럼 보이지도 않지만, 특별한 향과 독특한 식감으로 로마 시대 이전부터 사랑받아왔다. 프랑스의 전설적인 미식가 브리아 사바랭(Brillat-Savarin)은 송로버섯을 ‘부엌의 다이아몬드’라 했다. 유럽을 대표하는 3대 진미로 캐비아(철갑상어알), 푸아그라(거위 간), 트러플(송로버섯)이다. 중세 프랑스의 음식 문화는 그다지 발달한 편이 아니었다. 이탈리아 피렌체의 메디치(Medici)가 출신인 카트린느 드 메디치가 1533년 프랑스 앙리 2세와 정략결혼을 하면서 이탈리아의 요리 기술이 유입되었다. 이후 프랑스 요리가 발전.. 2023. 2. 21.
식혜. 안동식혜. 연엽식혜 식혜는 크게 3가지가 있다. 다과 상에 놓이는 식혜, 안동지방에 밥알을 삭힌 안동식혜, 강원도 지방에 연잎으로 만든 식혜이다. 식혜 밥을 엿기름으로 삭혀서 단맛이 나도록 만든 음료이다. 식혜를 언제부터 만들기 시작하였는지 알 수 없다. 고려시대 문헌인 ≪동국이상국집≫에 보이는 ‘행당맥락(杏餳麥酪)’의 ‘낙(酪)’을 식혜나 감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구체적인 기록은 조선시대 영조 때의 문헌인 ≪소문사설 謏聞事說≫에 기록되어 있다. 식혜를 만드는 법은 먼저 엿기름을 알맞게 계량하여 따뜻한 물에 껍질째 넣고 고운 체에 밭친 다음 그 물을 가라앉힌다. 쌀로 된밥을 지어 그릇에 담는다. 그릇에 엿기름의 웃물만을 가만히 따라서 붓고 온도를 60∼70℃로 4∼5시간 밥을 삭힌다. 이때 온도가 낮으면 밥이 쉬어 식혜의.. 2023. 2. 20.
미국디저트 밀푀유. 나폴레옹 밀푀유는 프랑스 디저트이다. 얇은 페이스트리를 겹겹이 쌓아 올려 만들었기 때문에 프랑스어로 “천 겹(thousand sheets)” 또는 “천 개의 잎사귀(thousand leaves)”라는 뜻이다. 보통 페이스트리 시트 한 장은 729개의 층으로 구성되는데 밀푀유는 두 장 이상의 페이스트리 시트가 들어가서 ‘천 개의 잎사귀’ 이다. 밀푀유는 보통 사각형이며, 바삭바삭하고 황금빛을 띠는 세 장의 퍼프 페이스트리와 그 사이에는 커스터드 크림, 또는 새콤한 과일과 휘핑크림이 올려진다. 바삭바삭한 식감과 촉촉하고 부드러운 크림이 절묘하게 조화를 이루는 맛이다. 먹기 아까울 정도의 밀푀유이다. 미국에서는 모든 종류의 밀푀유가 ‘밀푀유’가 아닌 당당하게 ‘나폴레옹’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많은 .. 2023. 2. 18.
나폴레옹 커피 디카페인 . 치커리 커피 나폴레옹의 커피는 치커리 커피였다. 나폴레옹 장교로 성공하며 정치에 대한 야망을 키울 때 다른 계몽사상가들처럼 파리의 카페를 자주 다녔다. 커피값을 못낼 땐 모자를 맡기면서까지 커피를 마셨다. 1804년 황제가 된 후 기독교 국가로서는 처음으로 커피를 군대 보급품으로 정했다. 나폴레옹은 커피 를 마셔야만 침대에서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마니아였다고 전해진다. 나폴레옹의 유럽 원정 활동과 관련해서는 치커리 커피 개발의 일화가 있다. 1806년 10월에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군이 독일의 베를린에 입성했다. 그리고 그곳에서 나폴레옹은 영 국의 경제제제를 의미하는 대륙봉쇄령을 공포한다. 앞서 나폴레옹이 이끄는 프랑스 해군은 1805년 트리팔가 해전에서 22척의 배가 파괴되거나 나포되는 참패를 겪었다. 이후로 .. 2023. 2. 18.
인도 카레 요리 종류 인도의 카레 요리 인도에서는 집집마다 카레 맛이 다르다고 할 정도 그 종류가 많다. 지역에 따라 향신료의 종류와 음식 재료가 다양하기 때문에 그 맛 또한 다양하다. 1.팔락 빠니르 (Palak Ppaneer ) 시금치와 인도식 치즈인 커티지 치즈를 듬뿍 넣은 초록색 카레이다. 시금치카레이다. 2.치킨 마크니( Chichen Makhani ) 신선한 토마토, 크림과 향신료로 맛을 낸 연한 치킨 카레이다. 치킨카레이다. 3. 머튼 코르마 (Mutton Korma ) 캐슈넛, 크림을 넣어 부드럽고 풍부한 맛의 양고기 카레이다. 양고기카레이다. 4. 프라운 빈달루( Prawn Vindaloo) 톡 쏘는 매콤한 맛과 진한 향신료의 향이 어우러진 새우 카레이다. 새우카레이다. 5. 차나 마살라( Chana Masa.. 2023. 2. 18.
카레는 스튜이다. 인도 식사예절 인도에서 카레란 우리나라에서 카레라고 하면 강황 가루를 생각하거나 카레라이스를 생각한다. 하지만 인도에서는 ‘커리’로 불리는 향신료가 아닌 음식을 말한다. 카레는 인도에서 수입되어 우리 식탁에 올라온 외래 음식으로, 카레라는 이름의 출처는 남인도와 스리랑카의 카리(kari)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으며, 다양한 향신료를 넣어 만든 스튜(stew)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카레는 특정한 식물이 아니라 커큐민, 후추, 생강, 계핏가루, 겨자, 강황, 칠리페퍼 등 무려 20여 가지의 재료를 섞어 만들어진 복합 향신료로 만든 음식이다. 인도의 카레는 만병통치약으로 사 용될 정도로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며 다양한 재료들과 함께 요리가 된다. 우리는 흔히 카레를 인도의 전통 음식으로 이해하는데, 인도와 국경을.. 2023. 2. 18.